
아모레퍼시픽미술관(관장 전승창)이 아모레퍼시픽 창립 80년을 기념하여 고미술 기획전 '조선민화전(Beyond Joseon Minhwa)'을 개최한다.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우리 민화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만나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3월 27일부터 6월 29일까지 진행된다.
오래 전 민간에서 그려지고 사용되며 묵묵히 자리매김해왔던 민화는 최근 그 구성과 표현, 색채, 개성, 완성도까지 시공간을 뛰어넘어 현대감각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번 전시는 커져가는 민화를 향한 관심에 부응하여, '한국의 미(美)'를 새롭게 바라보고자 기획되었다.
민화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이번 전시에서는 소재별로 작품을 구별해 그 표현과 미감을 심층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정교하고 완성도 높은 작품들부터 대담하고 독특한 개성의 작품들까지 민화의 다양한 매력과 재미를 즐길 수 있으며, 궁중회화풍의 그림들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나아가 도자기, 금속, 목기, 섬유 등 다양한 공예품까지 함께 전시해 민화가 동시대 공예품 장식에 미친 영향과 시대 유행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을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는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새롭게 수집한 작품과 기존에 실물을 감상하기 힘들었던 작품 등 20개 기관, 개인 소장 작품 100여 점이 전시된다. 특히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이 소장한 이택균의 '책가도10폭'과 '금강산도8폭병풍'이 새롭게 공개되며, '호작도', '운룡도', '어변성룡도' 등 대표적인 민화 작품들도 출품된다.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제주문자도8폭병풍',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백선도8폭병풍', 개인 소장 '수련도10폭병풍',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관동팔경도8폭병풍'도 만나볼 수 있다.
개막 시점에 맞춰 고품질 이미지와 논고, 작품 해설이 수록된 400페이지 분량의 전시 도록도 출간한다. 19명 필자의 논고와 18명 전문가의 작품 해설이 수록되어 민화 전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예정이다. 민화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그 다채로운 매력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리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전시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2023년 '조선, 병풍의 나라 2' 전시에서 사용했던 철제 프레임과 유리를 50% 이상 재사용하여 전시 공간을 구성했으며, 대부분의 가벽에는 이전 전시의 폐자재를 활용하여 폐기물 감축 및 자원 선순환을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전시 개요]
- 전시제목: 조선민화전 (Beyond Joseon Minhwa)
- 기간: 2025년 3월 27일 (목) ~ 2025년 6월 29일 (일)
- 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17:30 입장 마감, 월요일 휴관)
- 장소: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100)
- 예약: 아모레퍼시픽미술관 공식 홈페이지(http://apma.amorepacific.com)
- 대여기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국학진흥원, 경기도자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부산박물관, 울산박물관, 전주역사박물관, 천안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한양대학교박물관, 계명대학교박물관, 리움미술관, 호림박물관, 가나문화재단 (19개)
- 입장요금
-
가격
대상
-
15,000원
성인 (만 19세 이상)
-
12,000원
대학생
청소년 (만 7~18세) -
7,500원
국가유공자, 장애인
(보호자 1인 포함)
어린이 (만 3~6세) -
무료
36개월 미만
ICOM 카드 소지자
(기관회원 한정)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전시해설: 'APMA 가이드' 무료 다운로드 후 청취 가능
- 문의: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02-6040-2345 / museum@amorepacific.com
[참고자료] 주요 작품 소개
-
작품 설명
-
1. 이택균, '책가도10폭', 19세기, 비단에 채색,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2. '제주문자도8폭병풍', 20세기, 종이에 채색, 국립해양박물관
앞면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 1538-1593)에게 써준 '제김사순병명(題金士純屛銘)'의 목판본 글씨 10폭이 있고, 뒷면에 8폭의 효제문자도가 있는 양면 병풍이다. 3단으로 구성하여 중앙에 문자를, 상단과 하단에는 제주도에 자생하는 물고기, 새, 나무, 꽃, 누각 등을 배치하였다. 3단 구성에, 문자의 의미와 관련 없는 제주의 자연을 표현하는 형식은 제주문자도의 특징이다. 도식화된 문자에 칠해진 푸른색 안료가 제주의 바다를 연상시키는 작품이다.
-
3. '백선도8폭병풍', 20세기, 종이에 채색, 서울대학교박물관
한 화면에 여러 점의 부채를 그려 완성한 백선도 병풍이다. 8폭으로 이루어진 화면에는 화문석 위로 다양한 형태의 부채 그림들이 겹겹이 놓여 있다. 작품 속 선면(扇面)에는 산수, 화조, 사군자 등 다양한 주제와 양식의 그림들이 그려져 있다. 또한 맹호연(孟浩然, 689-740), 소식(蘇軾, 1036-1101) 등 중국의 저명한 문인들이 읊은 한시(漢詩)가 적혀 있는 부채 그림들도 나타난다. 백선도 병풍은 다양한 화목(畵目)의 여러 작품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게 고안된 것으로, 이 작품은 조선 말기에 일어난 호사취미(豪奢趣味)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장르의 일면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이다.
-
4. '수련도10폭병풍', 19세기, 비단에 채색, 개인 소장
연꽃이 가득 핀 연못 풍경을 우아한 화풍으로 그린 10폭 병풍이다. 민화에서 연꽃은 다양한 길상적인 의미를 지닌다. 백로와 함께 그려졌을 때 과거 시험에 한 번에 합격한다는 일로연과(一路連科)를 의미하며, 씨앗이 가득한 연자는 많은 자손을 얻는다는 연생귀자(連生貴子)의 뜻을 지니기도 한다. 꽃을 제외하면 특별한 의미를 지닌 동식물이 등장하지 않아 조용히 피어나고 사라지는 연꽃의 청정한 세계를 그리는 데 집중한 작품으로 짐작된다. 갓 피어난 연꽃 봉우리, 활짝 핀 연꽃, 연밥을 머금은 모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의 연꽃이 정성스럽게 묘사된 수작이다.
-
5. '관동팔경도8폭병풍', 20세기, 종이에 채색,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구불구불한 물결 표현과 추상적인 산수 표현이 돋보이는 민화 계통의 관동팔경도 병풍이다. 대관령 동쪽인 관동(關東) 지역의 명승지 여덟 곳을 그리고 지역과 승경지(勝景地)의 이름을 적어 넣었다. 실경산수화 계열의 작품들과는 달리 직접 관찰이 아닌 지형에 대한 개념적인 지식을 토대로 그려졌다. 화면 속 산수풍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도식적인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단순화된 경치 묘사가 뿜어내는 추상적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민화 관동팔경도이다.
-
6. '호작도', 19세기, 종이에 채색, 개인소장
호랑이와 까치를 그린 호작도이다. 하늘에는 구름 사이로 붉은 해가 떠 있고, 언덕에는 키 큰 노송이 서 있다. 나무 아래에는 우람한 호랑이가 앉아 있는데, 호랑이의 성난 시선이 머무는 곳에 두 마리의 까치가 지저귀고 있다. 호랑이의 신체를 화려하게 장식한 무늬, 노랗게 번쩍이는 두 눈, 그리고 미간에서 빛나는 백호(白毫)가 예사롭지 않은 인상을 남긴다. 호랑이는 전통적으로 사악한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로 여겨졌으며 호랑이 그림은 재앙이나 사악한 기운을 막는 벽사의 수단을 활용되었다. 한편 호랑이가 소나무, 까치와 함께 그려진 이유나 그 의미를 정확하게 설명하는 문헌은 전하지 않는다. 호작도가 세화(歲畫)로서 인기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새해를 맞이하는 즐거움과 기대를 담은 작품으로 생각된다.
-
7. '운룡도', 19세기, 종이에 채색, 개인소장
검은 구름을 배경으로 힘차게 움직이는 황룡을 그린 운룡도이다. 용의 시선이 닿는 곳에는 붉은 기운을 내뿜는 여의주가 그려져 있다. 조선시대에 용은 사방(四方)을 수호하는 사신(四神)중 하나로, 군주를 상징하는 신령스러운 동물로 여겨졌다. 『주역(周易)』에서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호랑이를 따른다"고 한 것에 따라 호랑이 그림과 짝을 이룬 운룡도가 다수 전해진다. 민간에서도 용은 복을 가져다주는 길상적 존재로 인식되어 새해에는 복을 기원하며 운룡도를 문에 붙이는 풍습이 있었다. 활달한 필치와 화려한 채색을 사용하여 용이 지닌 상징적 의미를 강화한 대표적인 운룡도이다.
-
8. '어변성룡도', 18세기, 종이에 채색, 개인 소장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었다는 어변성룡(魚變成龍) 고사를 주제로 그린 작품이다. 어변성룡은 중국 황하 상류의 용문폭이라는 폭포를 오른 잉어가 용이 되었다는 어약용문(魚躍龍門) 설화에서 비롯되었다. 이 설화는 청년 유생이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출세하고 신분 상승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며 이 고사를 그린 그림은 과거 합격과 출사를 염원하며 제작되었다. 19세기의 가사집 『한양가(漢陽歌)』에는 광통교의 그림 가게에서 어약용문, 즉 어변성룡을 그린 그림이 인기리에 팔렸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이 작품 역시 누군가의 과거 합격을 소망하며 제작되었을 것이다.
-
9. '구운몽도6폭병풍', 20세기 전반, 종이에 채색, 호림박물관
서포 김만중(西浦 金萬重, 1637-1692)이 지은 한글 소설 『구운몽』의 주요 장면들을 6폭에 나누어 그린 작품이다. 소설 속 주인공인 성진 스님[양소유(楊小游)]이 꿈속에서 팔선녀를 만나 부귀영화를 누리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각 폭에는 소설 속 장소와 등장인물을 알 수 있는 화제도 적혀 있다. 소설의 내용 외에도 현세의 부귀를 상징하는 건물들이 크게 그려져 있다. 건물의 지붕과 벽면은 형형색색의 무늬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는데, 세부의 표현은 다소 형식적이다. 화면 전체에 흐르는 현란하고 환상적인 색채가 구운몽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